제가 평소에 자주 쓰는 명령어 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!
git init
→ 현재 디렉토리를 local 저장소로 등록해주는 명령어입니다.
.git 하위 디렉토리를 생성해줍니다. 이 명령어를 사용해야 다른 git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.git 디렉토리는 숨김파일로 만들어져있기 때문에, 이를 확인 하려면 ls -al 명령어를 사용해야합니다.
만약 현재 디렉토리를 local 저장소에서 삭제하고 싶으면 rm -rf .git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.
git status
→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.
이 명령어는 어떤 상황이든 자주 쓰이는 명령어이기 때문에 잘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.
Untracked files: 추가가 안된 파일을 뜻합니다.
git add [파일명]
→ 깃에 커밋할 파일을 로컬 저장소에 포함해주는 명령어입니다.
추가해야하는 파일이 많을 경우 파일명을 하나씩 입력하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. 이 때 사용 할 수 있는 명령어로는 ' . ' 이 있습니다.
예제를 볼까요?
git add . 을 해주었더니 모든 파일이 추가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git commit -m "[내용]"
→ 커밋을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.
쉽게 설명하자면, 추가한 파일에 대한 설명 을 하고 변경사항을 확정 하는 명령어입니다.
git commit : editor 호출
git remote -v
→ 현재 연결된 깃허브 주소를 확인 하는 명령어입니다.
git remote add origin [Git 주소]
→ 깃허브 주소를 연결 하는 명령어입니다.
git remote rm origin
→ 현재 연결된 깃허브 주소를 삭제 하는 명령어입니다.
git + emoji
→ 주로, 제목을 작성하기 전에 type앞에 gitmoji를 붙힙니다.
🎨 | :art: | 코드의 구조/형태 개선 |
⚡️ | :zap: | 성능 개선 |
🔥 | :fire: | 코드/파일 삭제 |
🐛 | :bug: | 버그 수정 |
🚑 | :ambulance: | 긴급 수정 |
✨ | :sparkles: | 새 기능 추가 |
📝 | :memo: | 문서 추가/수정 |
💄 | :lipstick: | UI/style 파일 추가/수정 |
🎉 | :tada: | 프로젝트 시작 |
✅ | :white_check_mark: | 테스트 추가/수정 |
🔒 | :lock: | 보안 이슈 수정 |
🔖 | :bookmark: | 릴리즈/버전 태그 |
💚 | :green_heart: | CI 빌드 수정 |
📌 | :pushpin: | 특정 버전 의존성 고정 |
👷 | :construction_worker: | CI 빌드 시스템 추가/수정 |
📈 | :chart_with_upwards_trend: | 분석, 추적 코드 추가/수정 |
♻️ | :recycle: | 코드 리팩토링 |
➕ | :heavy_plus_sign: | 의존성 추가 |
➖ | :heavy_minus_sign: | 의존성 제거 |
🔧 | :wrench: | 구성 파일 추가/삭제 |
🔨 | :hammer: | 개발 스크립트 추가/수정 |
🌐 | :globe_with_meridians: | 국제화/현지화 |
💩 | :poop: | 똥싼 코드 |
⏪ | :rewind: | 변경 내용 되돌리기 |
🔀 | :twisted_rightwards_arrows: | 브랜치 합병 |
📦 | :package: | 컴파일된 파일 추가/수정 |
👽 | :alien: | 외부 API 변화로 인한 수정 |
🚚 | :truck: | 리소스 이동, 이름 변경 |
📄 | :page_facing_up: | 라이센스 추가/수정 |
💡 | :bulb: | 주석 추가/수정 |
🍻 | :beers: | 술 취해서 쓴 코드 |
🗃 | :card_file_box: | 데이터베이스 관련 수정 |
🔊 | :loud_sound: | 로그 추가/수정 |
🙈 | :see_no_evil: | .gitignore 추가/수정 |
나머지는 추후에..ㅎㅎ